루이스 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캐스는 미국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1782년 뉴햄프셔주에서 태어나 오하이오주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미영 전쟁에 참전하여 준장까지 진급했으며, 1813년부터 1831년까지 미시간 준주 주지사를 역임했다. 앤드루 잭슨 대통령 아래에서 육군 장관을 지냈으며, 프랑스 주재 미국 공사, 연방 상원의원, 국무 장관을 두루 거쳤다. 1848년 대통령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그는 인디언 이주 정책을 추진하고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으며, 여러 지역과 지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뷰캐넌 행정부의 각료 - 에드윈 M. 스탠턴
에드윈 M. 스탠턴은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링컨 대통령 시절 전쟁장관을 역임하며 남북 전쟁 북군 승리에 기여하고 노예 해방 선언에 영향을 미쳤으며, 존슨 대통령 재임 시절 탄핵 과정에 등장한 후 대법관에 지명되었으나 사망했다. - 미시간주의 연방 상원의원 - 스펜서 에이브러햄
스펜서 에이브러햄은 미시간 공화당 의장, 미국 상원 의원,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한 미국의 정치인, 변호사, 기업인으로, 현재 국제 전략 컨설팅 회사 회장 겸 CEO로 활동하고 있다. - 미시간주의 연방 상원의원 - 데비 스태버나우
데비 스태버나우는 1975년 정계 입문 후 미시간 주 의회와 미국 의회 양원에서 활동하며 현재 미시간주 연방 상원 의원을 역임하고 있고, 특히 상원 농업 위원회 의장으로서 농업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25년 1월 은퇴 예정이다. - 미국 육군 준장 - 찰스 린드버그
찰스 린드버그는 1927년 단독 무착륙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아들 유괴 사건, 나치 독일과의 관계, 반유대주의적 발언 등 논란과 과학 연구, 저술 활동 등 복잡한 삶을 살았던 미국의 비행사이자 저술가이다. - 미국 육군 준장 - 카를 슈르츠
카를 슈르츠는 독일 혁명에 참여했다가 미국으로 이민하여 상원의원과 내무장관을 지낸 정치인이자 언론인, 저술가로, 반노예제 운동, 남북 전쟁 참전, 공무원 개혁 및 인디언 정책에 기여하며 미국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스 캐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관직 | |
제22대 미국 국무부 장관 | 대통령: 제임스 뷰캐넌 임기 시작: 1857년 3월 6일 임기 종료: 1860년 12월 14일 전임: 윌리엄 L. 마시 후임: 제레미아 S. 블랙 |
미국 상원 임시 의장 | 임기 시작: 1854년 12월 4일 임기 종료: 1854년 12월 5일 전임: 데이비드 라이스 아치슨 후임: 제시 D. 브라이트 |
미국 상원 의원 | 선출 지역: 미시간주 1기 임기 시작: 1849년 3월 4일 1기 임기 종료: 1857년 3월 3일 전임: 토마스 피츠제럴드 후임: 재커라이어 챈들러 2기 임기 시작: 1845년 3월 4일 2기 임기 종료: 1848년 5월 29일 전임: 오거스터스 S. 포터 후임: 토마스 피츠제럴드 |
주프랑스 미국 대사 | 대통령: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임기 시작: 1836년 12월 1일 임기 종료: 1842년 11월 12일 전임: 에드워드 리빙스턴 후임: 윌리엄 R. 킹 |
제14대 미국 육군부 장관 | 대통령: 앤드루 잭슨 임기 시작: 1831년 8월 1일 임기 종료: 1836년 10월 4일 전임: 로저 B. 토니(대행) 후임: 조엘 로버츠 포인세트 |
제2대 미시간 준주 주지사 | 임명권자: 제임스 매디슨 임기 시작: 1813년 10월 13일 임기 종료: 1831년 8월 1일 전임: 윌리엄 헐 후임: 조지 브라이언 포터 |
오하이오주 하원 의원 | 지역구: 워싱턴, 갤리아, 머스킹엄, 애선스 카운티 임기 시작: 1806년 12월 1일 임기 종료: 1807년 12월 6일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782년 10월 9일 |
출생지 | 미국 뉴햄프셔주 엑서터 |
사망일 | 1866년 6월 17일 |
사망지 |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
정당 | 미국 민주당 |
배우자 | 엘리자 스펜서 (1806년 5월 26일 결혼, 1853년 사망) |
자녀 | 7명 |
![]() | |
군 복무 | |
소속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812년–1814년 |
계급 | 준장 |
부대 | 제27 미국 보병 |
주요 전투 | 1812년 전쟁 |
2. 생애
1782년 10월 9일 뉴햄프셔주 엑서터에서 조나단 캐스 소령과 몰리 길먼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지 워싱턴 장군 휘하에서 벙커힐 전투에 참전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적부터 군인의 꿈을 키웠다.[10]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은 후, 1799년 가족과 함께 델라웨어주 윌밍턴으로 이주하여 교사로 일했다.
1800년 미국 북서부 영토의 마리에타로 이주, 1801년 제인즈빌 근교에 농장을 세웠다. 이후 법률을 공부해 1802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806년 오하이오 주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807년부터 1812년까지 오하이오 주 지구의 연방 지방 법원 집행관을 역임했다.
1812년 미영 전쟁이 발발하자 오하이오 제3 연대에 대령으로 입대, 1813년 정규군 준장으로 진급하여 템스 전투에 참전했다.[5]
미영 전쟁 종전 후, 1813년부터 1831년까지 미시간 준주 주지사로 재임하며, 미시간 지역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과의 조약 협상 및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6]
1831년 앤드루 잭슨 대통령에 의해 육군 장관에 임명되어 1836년까지 재임하며 인디언 이주 정책을 추진했다.[9] 이후 1836년부터 1842년까지 주프랑스 미국 전권 공사를 역임했다.[14]
1845년 미시간주에서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 1848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해 사임했으나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했다.[11] [12] 1849년 다시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857년까지 재임했다.[11]
1857년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에 의해 미국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860년 뷰캐넌의 미온적인 태도에 실망하여 사임했다.[16][15]
국무 장관 퇴임 후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로 돌아와 문필 활동에 종사하다 1866년 6월 17일 디트로이트에서 사망, 엘름우드 묘지에 안장되었다.[1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782년 10월 9일 뉴햄프셔주 엑서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조지 워싱턴 장군 휘하에서 벙커힐 전투에 참전했던 조나단 캐스 소령이고, 어머니는 몰리 길먼이다.[10]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았다. 1799년 가족과 함께 델라웨어주 윌밍턴으로 이주하여 교사로 일했다.2. 2. 초기 경력
1782년 10월 9일, 캐스는 뉴햄프셔 주 엑시터에서 태어나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1799년에는 부모와 함께 델라웨어 주 윌밍턴으로 이주하여 교사가 되었다.1800년에 미국 북서부 영토의 마리에타로 이주하였고, 1801년에 북서부 영토 제인즈빌 근교에 농장을 세웠다. 이후 법률을 공부하여 1802년에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806년에는 오하이오 주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이듬해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캐스를 오하이오 주 미국 연방 보안관으로 임명했다. 1807년부터 1812년까지 오하이오 주 지구의 연방 지방 법원 집행관을 역임했다.
그는 당시 인기를 얻고 있던 친목 단체인 프리메이슨에 가입하여 활발히 활동했다.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3]
날짜 | 내용 |
---|---|
1803년 12월 5일 | 마리에타의 아메리칸 유니언 로지 1호에서 견습생으로 입문 |
1804년 4월 2일 | 동료 직공 |
1804년 5월 7일 | 마스터 메이슨 |
1805년 6월 24일 | 자네스빌의 로지 오브 어미티 105호(후에 5호)의 창립 멤버 |
1806년 | 로지 오브 어미티의 초대 워십풀 마스터 |
1808년 1월 4일 | 오하이오 그랜드 로지의 창립 멤버, 로지 오브 어미티 대표 |
1809년 1월 5일 | 부 그랜드 마스터 |
1810년 1월 3일, 1811년 1월 8일, 1812년 1월 8일 | 그랜드 마스터 |
2. 3. 미영 전쟁 참전
1812년 미영 전쟁이 발발하자 캐스는 오하이오 제3 연대에 입대하여 대령으로 임명되었다. 윌리엄 헐 장군과 윌리엄 헨리 해리슨 장군 휘하에서 북서부 준주 지역에서 복무했다. 1813년 정규군 준장으로 진급한 캐스는 8군구에서 해리슨 장군과 공동 작전을 수행하여 템스 전투에 참가했다.[5]1812년 7월 19일, 덩컨 맥아더 대령이 지휘하는 정찰 부대와 캐스가 지휘하는 150명의 오하이오 보병 부대가 포트 맬든으로 이어지는 다리 근처에 있었다. 영국군 대포 2문이 미국군에게 포격을 가해 미국 대포 1문을 무력화시켰다. 미국군은 다리를 건넌 후 영국군 병사 2명을 생포하고 포로들과 함께 안전하게 철수했다.[5]
1812년 7월 28일, 캐스 대령은 리비에르 오 카나르에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무리를 격퇴시켰다. 미국인들은 아메리카 원주민 1명을 사살하고 두피를 벗겼다. 캐스와 그의 동료 미국인들은 안전하게 후퇴했다.[6]
1813년 2월 20일, 캐스는 제27 미국 보병 연대 대령이 되었다. 같은 해 3월 12일 정규군 준장으로 진급했다. 템스 전투에 참전하여 테쿰세의 죽음에 기여했다. 1814년 5월 1일 육군에서 사임했다.
2. 4. 미시간 준주 주지사 (1813-1831)
미영 전쟁 종전 후, 캐스는 전쟁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미시간 준주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1813년 10월 29일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어 1831년까지 디트로이트에 거주하며 주지사 직을 수행했다.[16] 그는 잦은 출장으로 인해 여러 준주 비서들이 그의 자리를 대신하여 지사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캐스는 미시간 준주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미시간 지역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과 조약을 협상하고 이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조약들을 통해 원주민 부족들은 상당한 양의 토지를 할양했으며, 일부 부족에게는 준주 내 작은 보호 구역이 주어졌다. 특히 1817년 던컨 맥아더와 함께 포트 메이그 조약을 협상한 두 위원 중 한 명으로,[16] 이 조약은 미시간 지역이 유럽계 미국인들의 정착지로 개방되는 데 기여했다. 같은 해, 캐스는 제임스 먼로 대통령으로부터 전쟁 장관직을 제안받았으나 거절했다.
1820년, 캐스는 오늘날 북부 미네소타에 해당하는 오대호 지역의 미시간 준주 북서부로 탐험대를 이끌었다. 탐험의 목적은 이 지역의 지도를 제작하고 미시시피 강의 발원지를 찾는 것이었다. 당시 미시시피 강의 발원지는 알려지지 않아 미국과 영국령 북아메리카 사이의 국경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상태였다. 캐스 탐험대는 캐스 호를 미시시피 강의 발원지로 잘못 식별했으나, 1832년 탐험대의 지질학자였던 헨리 로 스쿨크래프트가 인근의 이타스카 호를 미시시피 강의 정확한 발원지로 확인했다.
1787년의 북서부 조례는 미시간 준주를 포함한 북서부 준주에서 노예 제도를 금지했지만, 미시간이 주가 될 때까지 소수의 노예가 미시간에 계속 거주했다.[7] 캐스는 준주 지사로서 적어도 한 명의 노예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1818년 캐스와 알렉산더 매콤 사이의 서신에서 확인된다.[8] 노예 제도는 1837년 미시간이 연방에 가입할 때까지 계속되었고, 첫 번째 주 헌법에 의해 주 전체에서 폐지되었다.[7]
2. 5. 미국 육군 장관 (1831-1836)
1831년 8월 1일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캐스를 육군 장관에 임명했고, 이에 캐스는 미시간 준주 주지사직을 사임했다. 캐스는 잭슨 대통령 아래에서 인디언 이주 정책의 중심인물이 되어, 인디언을 미시시피 강 서부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9] 1830년 의회는 인디언 이주법을 통과시켰는데, 이 법은 주로 남동부 부족, 특히 다섯 개의 문명화된 부족을 대상으로 했지만, 오하이오, 일리노이 및 미시시피 강 동부 지역의 부족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부족은 현재 캔자스와 오클라호마인 인디언 영토로 강제 이주되었지만, 일부 부족은 미시간에 남는 것을 허용받기 위해 협상하기도 했다.[10] 캐스는 1836년까지 육군 장관직을 역임했다.2. 6. 주 프랑스 공사 (1836-1842)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1836년 10월 4일, 에드워드 리빙스턴의 후임으로 루이스 캐스를 주프랑스 미국 전권 공사로 임명했다.[14] 그는 1836년 12월 1일에 신임장을 제정했으며, 1842년 11월 12일 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재임했다.[14] 그의 후임은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 하에서 제13대 미국 부통령을 역임한 윌리엄 R. 킹이었다.[14]2. 7. 연방 상원의원 (1845-1848, 1849-1857)
1845년 미시간주에서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군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1] 1848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해 상원의원직을 사임했으나,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휘그당의 재커리 테일러에게 패배했다.[12] 1849년 다시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857년까지 재임했다.[11]캐스는 국민 주권 원칙을 강하게 주장하며, 준주 주민들이 스스로 노예제 인정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2] 그러나 그의 출마는 민주당 내 분열을 일으켜, 반노예제를 주장하던 민주당원들이 이탈하여 자유토지당을 결성하는 결과를 낳았다.[12]
2. 8. 1848년 대통령 선거
1848년, 캐스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면서 상원 의원직을 사임했다. 윌리엄 올랜도 버틀러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준주 주민들이 스스로 노예제도 허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국민 주권' 원칙을 강력하게 주장했다.[11] [12]하지만 캐스의 출마는 민주당 내 분열을 초래했다. 반노예제를 주장하던 민주당원들은 탈당하여 자유토지당을 결성했다. 결국 캐스는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휘그당의 재커리 테일러에게 패배했다. 그는 선거에서 패배한 최초의 비(非)현직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으며, 다른 민주당 대통령을 승계하려는 시도에 실패한 최초의 민주당원이었다.
2. 9. 미국 국무 장관 (1857-1860)
1857년,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에 의해 미국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미국은 남부의 노예 제도 존폐 문제로 연방이 분열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캐스는 남부 연방의 이탈을 막기 위해 강경책을 주장했지만, 뷰캐넌 대통령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국 캐스는 뷰캐넌의 태도에 실망하여 1860년에 국무 장관직을 사임했다.[16][15]

그는 중앙아메리카의 미국 필리버스터에 동정적이었지만, 코모도어 히람 폴딩이 니카라과에 해병대를 상륙시킨 혐의로 지휘에서 해임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윌리엄 워커 (필리버스터)를 미국으로 송환하도록 강요했다.[13] 캐스는 멕시코로부터 더 많은 토지를 매입하려 했지만, 멕시코와 의회 지도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그는 또한 클레이턴-불워 조약에 대한 최종 합의를 협상하여 미국과 영국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 대한 통제를 제한했다.[2] 1858년 6월, 남태평양의 라이아테아와 타하아의 추장들은 타마토아 5세의 통치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미국에 이 섬들을 보호령으로 받아들여 줄 것을 요청했지만 실패했다.[14]
2. 10. 말년
국무 장관 퇴임 후 캐스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로 돌아와 문필 활동에 종사했다. 인디언 문제와 서부 개척 문제에 관심을 보였다. 1866년 6월 17일 디트로이트에서 사망했으며, 유해는 디트로이트 시내의 엘름우드 묘지에 안장되었다.[10]3. 유산 및 평가
루이스 캐스는 1812년 전쟁에서 캐나다-미국 국경 부근 군사 작전에 참여했고, 미시간 준주 지사로 임명되어 행정적 업적을 쌓아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포트 메이그 조약 체결로 미시간 지역이 유럽계 미국인 정착지로 개방되는 데 기여했고,[16] 미시시피 강 발원지 탐험을 이끌었다. 노예제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 주권' 원칙을 옹호했다.
그러나 앤드루 잭슨 행정부의 인디언 이주 정책 시행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여 부정적 평가도 받는다. 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을 펼쳤고,[10] 인디언이 백인보다 "본질적으로 열등"하여 문명화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강제 이주를 옹호했다.[9]
미국 내 여러 주에는 그의 이름을 딴 카운티, 도시, 지형 등이 있다.[28] 일리노이주 캐스군, 미네소타주 캐스 호, 미시간주 캐스 강, 디트로이트 캐스 테크니컬 고등학교[32] 등이 그 예시이다.
종류 | 이름 | 위치 |
---|---|---|
카운티 | 캐스군 | 일리노이주 |
카운티 | 캐스군 | 인디애나주 |
카운티 | 캐스군 | 아이오와주 |
카운티 | 캐스군 | 미시간주 |
카운티 | 캐스군 | 미주리주 |
카운티 | 캐스군 | 미네소타주 |
카운티 | 캐스군 | 네브래스카주 |
카운티 | 캐스군 | 노스다코타주 |
카운티 | 캐스군 | 텍사스주 |
카운티 | 캐스군 | 조지아주 |
도시 | 캐스 | 웨스트버지니아주 |
도시 | 캐슬레이크 | 미네소타주 |
도시 | 캐스시티 | 미시간주 |
도시 | 캐스폴리스 | 미시간주 |
도시 | 캐스타운 | 오하이오주 |
도시 | 캐스빌 | 조지아주 |
도시 | 캐스빌 | 미주리주 |
도시 | 캐스빌 | 펜실베이니아주 |
도시 | 캐스빌 | 위스콘신주 |
도시 | 캐스빌 | 뉴욕주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일리노이주 풀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클레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듀보이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그린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라포트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오하이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풀라스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설리번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화이트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분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캐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시더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클레이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거스리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해밀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해리슨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존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셸비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와펠로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더글라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그린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스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텍사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하이오주 핸콕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하이오주 머스킹엄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하이오주 리칠랜드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펜실베이니아주 헌팅던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펜실베이니아주 슈킬 군 |
3. 1. 긍정적 평가
1812년 전쟁에서 캐스는 캐나다-미국 국경 부근에서 여러 군사 작전을 수행하며 용맹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말든 요새 전투에서 제임스 밀러 대령과 함께 정찰대를 이끌며 적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4] 이러한 군사적 공로를 인정받아 1813년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에 의해 미시간 준주 지사로 임명되었다.미시간 준주 지사로서 캐스는 행정적 업적을 쌓았다. 특히 1817년 포트 메이그 조약을 체결하여 미시간 지역이 유럽계 미국인들의 정착지로 개방되는 데 기여했다.[16] 또한 1820년에는 탐험을 이끌어 미시시피 강의 발원지를 찾고자 노력했다. 비록 캐스 호를 발원지로 잘못 판단했지만, 이 탐험은 오대호 지역의 지도를 제작하는 데 기여했다.
캐스는 노예제 문제에 대해 '국민 주권' 원칙을 옹호했다. 비록 북서부 조례에 따라 미시간 준주에서 노예 제도가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7] 캐스 본인은 준주 지사 시절 노예를 소유한 적이 있었다.[8] 그러나 1837년 미시간이 주로 승격되면서 주 헌법에 따라 노예 제도는 완전히 폐지되었다.[7]
3. 2. 부정적 평가
루이스 캐스(Lewis Cass영어)는 앤드루 잭슨 행정부의 인디언 이주 정책을 시행하는 데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1830년 의회에서 통과된 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그는 남동부 부족, 특히 다섯 개의 문명화된 부족을 포함하여 오하이오, 일리노이 및 미시시피 강 동부 지역의 부족들을 현재의 캔자스와 오클라호마인 인디언 영토로 강제 이주시켰다.[10] 그는 1830년 《노스 아메리칸 리뷰》(North American Review)에 기고한 글에서 인디언은 백인보다 "본질적으로 열등"하며 문명화될 수 없으므로 미국 동부에서 제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3. 3. 명칭 유래
미국 내 여러 주에 캐스의 이름을 딴 카운티, 도시, 지형 등이 존재한다.[28] 예를 들어 일리노이주 캐스군, 미네소타주 캐스 호, 미시간주 캐스 강 등이 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캐스 테크니컬 고등학교[32] 등 그의 이름을 딴 학교들도 있다.종류 | 이름 | 위치 |
---|---|---|
카운티 | 캐스군 | 일리노이주 |
카운티 | 캐스군 | 인디애나주 |
카운티 | 캐스군 | 아이오와주 |
카운티 | 캐스군 | 미시간주 |
카운티 | 캐스군 | 미주리주 |
카운티 | 캐스군 | 미네소타주 |
카운티 | 캐스군 | 네브래스카주 |
카운티 | 캐스군 | 노스다코타주 |
카운티 | 캐스군 | 텍사스주 |
카운티 | 캐스군 | 조지아주 |
도시 | 캐스 | 웨스트버지니아주 |
도시 | 캐슬레이크 | 미네소타주 |
도시 | 캐스시티 | 미시간주 |
도시 | 캐스폴리스 | 미시간주 |
도시 | 캐스타운 | 오하이오주 |
도시 | 캐스빌 | 조지아주 |
도시 | 캐스빌 | 미주리주 |
도시 | 캐스빌 | 펜실베이니아주 |
도시 | 캐스빌 | 위스콘신주 |
도시 | 캐스빌 | 뉴욕주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일리노이주 풀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클레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듀보이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그린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라포트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오하이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풀라스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설리번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인디애나주 화이트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분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캐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시더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클레이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거스리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해밀턴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해리슨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존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셸비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아이오와주 와펠로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더글라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그린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스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미주리주 텍사스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하이오주 핸콕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하이오주 머스킹엄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하이오주 리칠랜드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펜실베이니아주 헌팅던 군 |
타운십 | 캐스 타운십 | 펜실베이니아주 슈킬 군 |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선거인단) | 결과 | 당락 |
---|---|---|---|---|---|---|---|
1813년 선거 | 미시간 준주지사 | 2대 | 민주공화당 | 100.00% | 1표 | 1위 | |
1844년 선거 | 상원의원 (미시간 제1부) | 29대 | 민주당 | 100.00% | 1표 | 1위 | |
1848년 선거 | 미국의 대통령 | 12대 | 민주당 | 42.49% | 1,223,460표 (127명) | 2위 | 낙선 |
1849년 재선거 | 상원의원 (미시간 제1부) | 31대 | 민주당 | 100.00% | 1표 | 1위 | |
1850년 선거 | 상원의원 (미시간 제1부) | 32대 | 민주당 | 100.00% | 1표 | 1위 |
참조
[1]
뉴스
Congress slaveowners
https://www.washingt[...]
2022-07-04
[2]
웹사이트
Biographie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Lewis Cass (1782–1866)
https://history.stat[...]
U.S. State Department
2017-02-22
[3]
웹사이트
Past Grand Masters - 1810 Lewis Cass
http://www.freemason[...]
Grand Lodge of Ohio
2012-12-21
[4]
서적
The War of 1812: A Complete Chronology with Biographies of 63 General Officers
[5]
서적
The War of 1812: A Complete Chronology with Biographies of 63 General Officers
[6]
서적
The War of 1812: A Complete Chronology with Biographies of 63 General Officers
[7]
웹사이트
Anti-Slavery Movement in Michigan
https://michiganolog[...]
Michigan History Center
2023-08-24
[8]
서적
Lewis Cass and the Politics of Moderation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96
[9]
웹사이트
Removal of the Indians
http://nationalhuman[...]
[10]
웹사이트
Lewis Cass - People - Department History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9-06-23
[11]
서적
The Kentucky Encyclopedia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2
[12]
서적
Lewis Cass and the Politics of Moderation
1996
[13]
웹사이트
Instances of Use of United States Forces Abroad, 1798 - 1993
https://fas.org/man/[...]
2023-03-09
[14]
학술지
Manuscript XXIII: A Raiatean Petition for American Protectio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2-03
[15]
서적
Lewis Cass
http://worldcat.org/[...]
Houghton, Mifflin
1899
[16]
서적
Encyclopedia of the War of 1812
Naval Institute Press
2004
[17]
웹사이트
Historical Sketch of Joseph Spencer - So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Connecticut
http://www.connectic[...]
Historian Society of the Sons of the Revolution in the State of Connecticut
2017-09-22
[18]
서적
The City of Detroit, Michigan, 1701–1922
https://books.google[...]
S. J. Publishing Company
1922
[19]
뉴스
Cass Canfield, a Titan of Publishing, Is Dead at 88
https://www.nytimes.[...]
2021-07-30
[20]
서적
First record book of the Society of Colonial Dames in the State of Rhode Island and Providence Plantations: Ending August 31, 1896
https://books.google[...]
Snow & Farnham, printers
2017-04-26
[21]
서적
The city of Detroit, Michigan, 1701-1922; Volume 4
https://books.google[...]
The S. J. Clarke publishing company
[22]
뉴스
Ledyard Given Quiet Funeral
https://www.newspape[...]
1921-05-28
[23]
서적
Biographical Record of the Class of 1865, of Hamilton College
https://archive.org/[...]
Hamilton College
2017-04-26
[24]
서적
The diamond of Psi Upsilon
https://books.google[...]
Psi Upsilon Fraternity
[25]
서적
Who's Who in America A Biographical Directory of Notable Living Men and Women of The United States Vol VI 1910-1911
https://books.google[...]
A. N. Marquis & Co.
2017-04-26
[26]
웹사이트
Guide to the Henry Ledyard collection 1726-1899 and undated (bulk 1840-1859)
https://library.brow[...]
Redwood Library and Athenaeum
2017-04-26
[27]
서적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1774–2005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5
[28]
웹사이트
Lewis Cass statue, Statuary Hall, the Capitol at Washington
https://www.loc.gov/[...]
2024-04-10
[29]
웹사이트
Michigan Military and Vetarans Hall of Honor Lewis Cass
https://www.mimilita[...]
2024-04-10
[30]
서적
The History of Miami County, Ohio: Containing a History of the County; Its Cities, Towns, Etc.
https://books.google[...]
Windmill Publications
[31]
서적
West Virginia Place Names: Their Origin and Meaning, Including the Nomenclature of the Streams and Mountains
http://babel.hathitr[...]
The Place Name Press
1945
[32]
웹사이트
Detroit, Michigan - MapQuest
https://www.mapquest[...]
2024-04-10
[33]
웹사이트
Cass Ave · Mt Clemens, MI
https://www.google.c[...]
2024-04-10
[34]
웹사이트
Michigan Masonic Legacy Society Gala - Michigan Masons
https://michiganmaso[...]
2024-04-10
[35]
웹사이트
Michigan governor: Lansing's Lewis Cass Building renamed to 'Elliott-Larsen Building'
https://www.clickond[...]
2024-04-10
[36]
웹사이트
MemberListC |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https://www.american[...]
2023-03-09
[3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06
[38]
서적
アメリカ大統領を読む事典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